안녕하십니까 주바바 입니다.
오늘은 이벤트와 광고 등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파트라고 생각되는 컨셉입니다.
컨셉이야 말로 가장 화려한 꽃이죠...
근데 이게 컨셉 = 개념 이렇게만 표현하면 쉬운데 사실 도대체 컨셉을 어떻게 정하냐는 말이죠...
어느 책을 봐도 시원하게 설명해 주는 책이 없고 각자 각자 업력을 쌓고 본인의 노하우를 풀어놓는 정도입니다.
사실 저도 마찬가지구요...
철학부터 미학, 광고 등등 다양한 책을 보며 정리했던 내용들을 토대로 컨셉편을 구성해봤습니다.
20세기 최고의 천재 철학자인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철학에서 보면
논리의 언어가 아닌 현실의 사람들이 어떻게 단어를 사용하는지가 중요하다는 건데...
즉 컨셉이과 연출같은 똑같은 단어들이 각자의 경험이나 지식에 따라 사람마다 전혀 새롭게 해석된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는 거죠...
결국 단어의 올바른 해석이 가장 중요하겠더라구요...
제가 바바실리를 통해 단어들을 명확하게 정의하고자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제국주의 시대의 식민지 쟁탈전의 역사도 끝이 났고, 핵이라는 강력한 무기는 전쟁 억제력이라는 결과로 나타났습니다.
그렇다면 남은건 내가 가지고 있는 멀쩡한 제품을 유행에 뒤떨어진 촌스러운 상품으로 만들거나 기술력이 뒤떨어지는
구시대적인 제품으로 만들어 버리는 겁니다. 이것이 바로 현대 자본주의의 본질이겠죠...
미키마우스가 쥐라는 원본을 모방해서 만든 캐릭터지만...
쥐라는 원본과 연관점을 찾지 않고도 미키마우스라는 캐릭터가 살아 움직입니다.
원본을 모방한 복사본이 새로운 원본이 되어 미키마우스를 표절한 짝퉁 미키마우스가 등장하기도 합니다.
이것이 바로 시뮬라크르라는 개념입니다.
전지현이라는 배우가 별에서온 그대에서 탑스타 천송이 역할을 하고 다시 본래의 전지현으로 돌아 갔습니다만
미디어를 통해 우리나라는 넘어 천송이라는 캐릭터에 다시 열광을 하고 배우 전지현이 아닌 천송이의 캐릭터를
소비합니다. 드라마의 영향력이 끝날때까진 천송이의 아우라는 시장을 장악합니다.
미디어를 통해 새로운 기호가치가 형성된 것이죠...
요즘 농담으로 헬창이란 말을 합니다. 언더아머란 의류 브랜드는 3대 500이하 착용 금지라는 말로
흔히 몸짱들의 대표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언더아머를 입으면 3대 500을 인증하는 상징적인
몸짱이 되는 것 입니다.
이 브랜드를 소비하면 그 집단에 소속한다는 환상을 심어주는 것...
심리학적으로는 파노블리 효과하고 합니다.
제품 자체의 쓸모가 아닌 이 제품을 들고 있으면서 퍼지는 간지와 아우라가 더 중요한 것이 현대사회라는 것이죠...
물질이 아닌것이 돈이되는 세상, 이것이 현대의 기호 가치 입니다.
이것이 컨셉과 무슨상관이냐??? 컨셉은 쓸만한 물건이 널려 있는 현대의 사회에서
소비자의 기호를 생성해내는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겁니다.
데이터가 컨셉으로 가는 과정이 있습니다.
데이터를 모아 유의미한 정보로 해석해 내고 이를 통해 키워드를 산출합니다.
이 키워드의 공통적인 특성을 증류 즉 추상하여 우리가 어필하고자 하는 컨셉어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동영상에서 기억해야할 핵심 포인트는...
첫번째, 현대의 기호 소비사회에서 왜 컨셉이 필요한지...
두번째, 관념과 실재 언어의 구분을 통해 컨셉 언어가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세번째, 관념을 추상하기 위해 추상의 정의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네번째, 귀납을 통한 컨셉의 추출, 컨셉을 통해 일이관지하는 연역적 프로젝트의 설계...
자세한 내용은 바바실리 이벤트스쿨 유튜브 영상을 통해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www.youtube.com/watch?v=ZWeYXfwmPn8
감사합니다
'2. 실전 이벤트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강 클라이언트가 컨펌하는 비주얼 만들기 (0) | 2021.06.04 |
---|---|
2-7강 Part 2 컨셉 카피와 슬로건 작성법 (0) | 2021.05.28 |
2-6강 이벤트 기획 스케줄표 작성법 (0) | 2021.04.24 |
2-5강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이벤트 입찰의 세계 (0) | 2021.04.17 |
2-4강 한 줄로 꿰는 기획 프로세스 (0) | 2021.04.10 |
댓글